[시장 이슈] 6억 이하 서울 아파트값 '껑충'…주변 집값 상승 '부채질' 하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상가정보연구소 작성일20-06-12 08:41 조회1,804회 댓글0건

본문

36fc267cd25f38fd4a07297517ce6423_1591918812_5553.jpg

[▲이미지 출처. 뉴시스]

 

 

직장인 김모(39)씨는 이달 초 서울 관악구 봉천동의 전용면적 59㎡ 아파트를 계약했다. 전세금이 너무 오르고, 집값과 전세금 차이가 1억원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아예 집을 사기로 결심했다.

김씨는 "2년마다 이사 다니는 것도 불편하고, 전세금 오르는 것도 부담스럽다"며 "집값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대출을 받아 작은 집이나마 사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세난이 갈수록 심해지고,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 등 정부의 잇단 규제 대책으로 고가 아파트들의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 반면, 중저가 소형 아파트들의 몸값은 갈수록 올라가고 있다.

지난달 서울의 중소형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해 12월 대비 3.6%나 올랐다. 소형 아파트값의 상승률이 대형 아파트보다 2배 이상 높다. 특히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집값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고가·초고가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강력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6억원 이하 중저가 소형 아파트로 주택 수요가 몰리는 양상이다.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114에서 발표한 서울 구별·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소형(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2923만원으로, 지난해 12월 대비 3.6%(101만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중대형(85㎡ 초과) 아파트값이 1.4%(3118만원→3161만원) 오른 것과 비교하면 2.6배나 높은 수치다. 중소형(60㎡ 초과~85㎡ 이하) 아파트값 상승률 2.2%(2856만원→2920만원)와 비교해도 1.6배 높다.

집값 급등의 진원지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보다 중저가 소형 아파트가 있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의 오름폭이 컸다. 지난해 12월말부터 올해 5월까지 노원구의 소형 아파트값은 평균 6.8% 상승했다. 또 도봉구는 4.8%, 강북구는 8.3% 상승했다. 서울 외곽 지역인 성북구(6.6%), 구로구(6.3%), 관악구(6.3%) 등도 6% 이상 상승세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따르면 지난 1월 6억원에 매매됐던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아파트(전용면적 58㎡)는 지난달 6억8000만원에 팔렸다. 4개월 사이 8000만원(13.3%)이나 올랐다. 또 같은달 3억500만원에 매매가 이뤄진 도봉구 창동 주공4단지(전용면적 41㎡)는 지난달 3억3800만원에 매매됐다.

대출 규제와 보유세 부담 등으로 고가 아파트에 매수에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중저가 아파트로 몰리면서 중저가 소형 아파트값을 끌어 올린다는 분석이다.

중저가 소형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는 이른바 '갭 메우기'(가격 격차를 줄인다는 뜻) 현상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저가 소형 아파트값 상승세가 서울 전역의 집값을 자극하는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울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중저가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대출 규제와 보유세 부담 등으로 고가 아파트에 매수에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6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로 몰리고 있다"며 "부동산에 몰린 유동자금이 자금 출처 의무가 없고, 규제가 덜한 6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들로 이동하면서 중소형 아파트들의 집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서울 외곽지역 6억원 이하의 아파트들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중저가 소형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서울 집값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